Tax & Retirement Blog

세금과 은퇴 블로그

  • 한미 양국 동시 연금혜택

    January 1, 2015

    한국의 국민연금공단 (National Pension Service of Korea)과 미국의 사회보장국 (Social Security Administration)사이에서 2001년 4월에 발효된 한미 사회보장협정의 내용은 크게 두가지이다. ‘가입기간 합산협정’ (Totalization Agreement)과 ‘보험료… Read more

  • IRS 감사를 피하는 요령

    April 10, 2013

    최근 보고서에 의하면 연 $200,000불 이하의 수입이면 IRS Audit을 받을 확률이1%, 즉 100명에 1명꼴이라고 한다. 올해부터 발효되는 부자증세 이후 이 확률이 더 올라가리라 예측한다.  $200,000 이상 수입은 4%, 1백만불 수입… Read more

  • 세금사기의 12가지 유형

    March 1, 2013

    세금보고 시즌을 맞아 세금관련 사기가 기승을 부리면서 IRS는 세금사기(Tax Scams)와 탈세방법으로 사용되는 12가지 수법, 소위 더티 존(Dirty Zone)을 공개한 바 있다. IRS는 이같은… Read more

  • 세금인상 시대의 도래

    February 1, 2013

    미국은 새해 첫날 상•하원의 극적 통과로 재정절벽(fiscal cliff) 중 ‘작은 절벽’하나를 넘게 됐다. 이른바 재정절벽이란 지난 해 말까지로 설정됐던 감세 및 재정지출 확대조치가… Read more

  • 재정절벽과 택스마겟돈

    December 5, 2012

    재선에 성공한 오바마 대통령은 당선의 기쁨을 만끽할 시간도 없이 ‘재정절벽’(Fiscal Cliff) 해소라는 큰 벽에 부딪치게 되었다. 이 재정절벽을 해결하지 못하면 내년도 미국경제가 또다시 침체에 빠지게 될 것이라는 예측이다. 올해 연말까지 적용되는 각종 세제 혜택의 종식과 신년도 재정적자를 줄이려 정부지출을 대폭 축소하려는 재정절벽과 관련하여 유발될 수 있는 세금 대재앙, 일명 택스 마겟돈 (Taxmageddon)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1. 재정절벽(Fiscal Cliff)이란?      2001년 부시정권 시절에 발효된 각종 세금 인하조처들이 올 연말 만료되는 경기부양책 종료(12/31/2012)와 함께 자동 재정적자 감축실행(1/1/2013)으로 인한 급격한 정부지출의 감소를 의미한다.  미 의회가 연말까지 새로운 법을 제정하지 못하면 각종 감세법은 자동 종식되며 정부의 재정지출도 감소된다. 이에 대한 대응책이 없을 경우, 경제적 충격이 매우 클 전망이며 재정절벽은 세금 대재앙, 일명 택스마겟돈 (Taxmageddon)을 불러올 수 있다. 2. 택스마겟돈(Taxmageddon)이란?      세금 Tax와 대재앙 Amageddon의 합성어로 세금 대 재앙을 일컫는다. 감세조치와 더불어 정부가 재정적자를 줄이기 위하여 정부지출을 대폭 축소하면 지구종말을 가져올 정도의 세금 대재앙이 올 수 있다는 뜻이다.  ‘택스마겟돈’이 현실화되면 미국을 다시금 리세션(경기후퇴)으로 몰아 넣을 전망이다. 3. 경제적 파장      오바마의 부자증세, 재정지출 유지와 공화당의 부자증세 반대, 재정지출 축소에 대한 의회의 합의가 실패할 경우, 2013년도 상승하는 세금 총액은 연간 약 5천억 달러에 달하며 가정당 평균 약 2천달러 세금을 더 내야하는 셈이다. 따라서 각종 세제 혜택의 종료와 대규모 지출감축으로 인해 미국 내수가 줄어 들고 다시 불경기로 접어들 세금 대제앙의 우려가 있는 것이다. 4. 연말에 종료되는 각종 세제혜택들      가) Bush Tax - 2012년은 부시감세안이 종결되는 해이다.  연장되지 않는한 현행 최고 세율인 33%와 35%가 36%와 39.6%로, 최저 세율은 10%에서 15%로 상향조정된다.      나) 부양자녀 세액공제, 대학교육크레딧 - 2001년부터 도입된 ‘경제 성장 및 감세 조정법’(Economic Growth… Read more

  • Turning Age 65

    November 1, 2012

    미국 베이비 부머들은 2차대전 후 1946년에서 1964년 사이에 태어난 아기들로서 전국적으로 약 7천8백만 명이 된다. 작년 2011년이 첫 65세가 되는 해였다. 장수시대에 접어들면서 미국의 많은 베이비 부머들이 수입상 대책 없는 은퇴생활을 하고 있다고 한다.  과거 경제적으로 좋은 시절에는 회사연금 (Pension)과 사회보장금 (Social Security Benefits) 등으로 은퇴수입이 든든했었다.  최근 미국 경제가 어려워지면서 연금을 책정하는 회사들은 드물고 사회보장금도 메말라 가고 있다.  호모 헌드랟(Homo Hundred), 백세 장수시대가 눈앞에 왔다. 막상 65세가 다가왔을 때 어떻게 해야 할까? 1.  헬스케어에 대한 대책 헬스케어와 관련되는 의료비용은 앞으로 은퇴를 고려할 때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요소이다.  만약 의료비용에 대한 준비 없이 조기은퇴를 했을 때 건강에 탈이 생기면 엄청난 의료비를 감당해야 한다.  다행히 미국에서 10년 이상 사회보장세를 낸 은퇴자들은 메디케어 (Medicare)에 대한 혜택을 65세부터 받을 수 있다. 2.  메디케어 등록 65세가 되기 전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65세 생일 3개월 전에 SSA에 가서 메디케어 신청을 해야 한다.  직접 신청을 해야 하며 자동적으로 가입이 되지 않는다.  늦게 신청을 하면 벌금을 내야 한다.  직장이나 다른 건강보험이 있으면 현재 보험이 끝난 후 8개월 이내에 가입을 해야 벌금을 피할 수 있다. 메디케어에는 여러가지 선택을 해야 할 옵션들이 많이 있다.  Medicare A, B, C, D 등과 많은 Supplemental Plan들이 존재한다.  본인에게 가장 잘 맞는 혜택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전문인과 상담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사회보장금 선택 과거에는 풀 베니핏이65세부터 수령했지만 점점 수령연령이 연장되고 있다. 1946 ~1954년 사이에 태어난 베이비 부머는 66세부터 100% 받을 수 있다.  가장 빨리 수령할 수 있는 연령은 62세부터이나 100% 수령액에서 25% ~ 30% 적게 받게 된다.  만일 70세까지 미루었다가 수령하면 30%쯤 더 받게 된다.  현재 자영업을 하든 은퇴를 늦게 할 수 있다면 미루었다가 수령하는 것이 유리하다.  한 번 결정된 수령액은 평생 고정된다.… Read more

  • 오바마 vs. 롬니: 세금 정책 비교

    October 3, 2012

    개인 납세자에게 미칠 영향  미국 대선 시즌이 막바지에 들어서고 있는 가운데 양당 두 후보는 상반된 세금 플랜을 세우고 있다.  민주당의 오바마 후보와 공화당의 롬니 후보가 얼마나 대립되는 세금 공약을 세우고 있는지 살펴보기로 한다. 1.  봉급및 개인 소득세     오바마 플랜은 현재 세율 6단계 중 4단계, 즉 10%, 15%, 25%, 28%는 그대로 두고 상위 33%의 세율은 36%, 35%는 39.5%까지 최고 세율을 올리겠다는 것이다.  (부부는 연소득 25만 달러 이상, 독신은 20만달러이상) 오바마는 소위 Buffett Rule을 지지한 바 있다.  이는 소득 1백만 달러 이상 가정에는 최소 30% 연방소득세를 지불하게 하는 방법이다.     롬니는 현재의 6단계 세율을 각각 20% 씩 인하하여 8%, 12%, 20%, 22.4%, 26.4%, 28%로 모든 납세자들에 대한 소득세율을 올리지 않겠다는 것이다.     만일 위의 두 플랜 중 하나도 채택되지 않는다면 2013년 이후는 15%, 28%, 31%, 36%, 39.6%의 5단계로 가게 되어 있다.… Read more

  • 영업손실에 의한 IRS 환불

    September 1, 2012

    미국경제가 좀처럼 회복되지 않는 가운데 “올해 비즈니스가 나빠서 손해를 봤는데 세금보고를 해야 하나요?”라는 질문을 많이 받아왔다.  개인세금보고는 자영사업자 (self-employed) 일 경우 년 수입이 $400 이상일 때와 영업손실 (NOL: Net Operating Loss)이 발생했으면 IRS Refund (환불)을 받기 위해 세금보고를 하는 것이 유리하다.  납세자의 뜻하지 않은 영업손실을 IRS가 인정하여 과거 낸 세금에서 돌려주는 세재상의 혜택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한다. 1.  투자손실과 영업손실     투자목적을 위하여 소유하여 사용하는 거의 모든 것이 양도자산이고 이 양도자산이 팔리면 그 자산의 원가와 판매액 사이의 차액이 투자이득, 손실 (Capital Gains and Losses)이 된다.  일반적으로 투자손실이 발생하면 개인인 경우 년 $3,000까지 (일년 이상 장기보유)만 공제가능하고 남은 손실은 다음 년도로 이월 시킬 수 있다.     IRS의 영업손실 (NOL)은 총지출이 총수입보다 더 많아 손실을 초래한 경우이다.  간혹 철저한 절세 장치의 결과일 수도 있다.  따라서 당해의 영업손실에 대해 과거 2년까지 전기이월 (carry back)과 향후 20년까지의 연속이월(carry forward)이 가능하여 세금환불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2.  환불을 신청하는 방법     A)  Form 1045- 당해 영업손실을 전기이월 (carry back)을 통한 환불을 신청하는 경우 당해 회계년도 말 기준으로 1년이 지나지 않았다면 개인일 경우 IRS Form 1045… Read more

  • 죽음과 세금: 살면서 못 피하는 것

    August 1, 2012

    Benjamin Franklin이 친구에게 보낸 편지에서 오늘까지 전해오는 유명한 말이 있다: “이 세상에서 확실한 것은 아무 것도 없다.  죽는 것과 세금을 제외하고는” (In this world, nothing can be said to be certain, except death and taxes).  세상을 살면서 피할 수 없는 두 가지는 죽음과 세금이라는 말이겠다.  대부분의 납세자들은 크게 두 가지 납세제도가 있다는 사실을 잘 모른다.  하나는 우리가 잘 아는 소득세(Income Tax)를 말하고 다른 하나는 재산이전세 (Transfer Tax), 즉 증여세, 상속세 등을 말한다.  재산이 있는 사람들은 죽기 전에 (증여세) 또는 죽은 후에 (상속세) 세금을 내야할 지도 모른다. 그러므로 후손들에게 물려줄 재산 (Estate)에 대한 계획 (Estate Planning)을 미리 세워 둘 필요가 있는 것이다.… Read more

  • ‘베이비 부머’는 불안하다

    July 3, 2012

    2차대전 후 1946년에서 1964년 사이에 태어난 약 7,700만 명의 ‘베이비 부머’ (Baby Boomer)들이 은퇴후 삶에 대해 불안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최근 조사되었다. 최근 AP통신의 설문 조사에 의하면 베이비 부머 세대 중 11%만 은퇴 후 경제적으로 안정된 삶을 자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아직 경제적인 활동 중인 베이비 부머 4명 중 1명은 경제적인 이유 때문에 은퇴를 할 수 없고 계속 일을 할 것으로 답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우리 이민 1세들의 입장에서 볼때 이민와서 새 삶을 일구어 가면서 자식키우고 공부시키느라 가족을 위하여 헌신의 삶을 살아온 1세들이 은퇴를 했거나 은퇴를 바라보고 있는 이들이 많아졌다. 그러나 노후가 불안하다는 말을 많이하고 있다. 은퇴 후의 삶이 더 고달프지 않게 베이비 부머의 현실과 대책을 살펴보기로 한다. 1.  불투명한 미래 미국의 금융위기로 시작된 경기침체와 유럽발 국가부도사태에 대한 유러 자본시장이 아직도 불안한 상황 가운데 있다. 이러한 경기불황과 불안 속에서 베이비 부머중 64%는 소셜연금 (Social Security Benefit)을 중요한 노후수입으로 생각한다고 한다.  그러나 이대로가면 21년내에 기금이 고갈될 전망이다.  ‘수명 백세 시대’를 맞아 수령자들은 점점 늘어나지만 출산율은 점점 줄어 사회보장세를 내는 근로자의 숫자가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회보장기금 자체가 머지않아 적자로 전환되고 원금에서 지출해야 하는 상황이 오게 된다. 이런 문제점을 타파하는 해결책으로 수령연령을 높이고 은퇴혜택을 줄이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 소셜연금에 대한 미래는 불안하고 여기만 의존할 경우 경제적인 편안한 노후를 보장 받기는 어려울 것이다. 2.  은퇴준비와 노후대책 은퇴생활은 대개 3개의 시기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활동기 (60 ~ 70대 중반), 회고기(70대 후반), 간병기 (80대 ~ 90대) 등 총 3개시기로 구성된다고한다.  이 3개 시기를 잘 알아두어야 좋은 노후계획을 세울 수 있다. 은퇴 준비하면 노후자금 마련을 첫째로 꼽지만 실은 은퇴설계는 재무적(financial) 준비와 비재무적(non-financial) 준비로 이루어져야 한다. 전자는 노후 생활비, 의료비 등을 마련하는 것이고, 후자는 건강, 자기개발, 가족관계, 주거계획 등을 준비하는 것이다. 행복하고 풍요로운 은퇴생활이 되려면 당연히 이 두 가지 준비가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사실 나이 40이 넘으면 은퇴준비를 미리 해야 한다. 노후에 펼쳐질 라이프 스타일을 그려보고 준비하면서 은퇴후 삶의 질에 대하여 대처해야할 것이다. 은퇴를 생각하기에는 너무 이른 나이라고 생각되지만 그날은 쏜 살 같이 온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베이비 부머들의 가장 큰 고민은 ‘수명을 다하기 전 돈 떨어질 것’… Read more